[Python] 체육복

2020. 1. 10. 09:56Python 기초/Python_Algorithm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집중 포인트 :

1.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2.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집중포인트 1번과 2번을 해결하면 문제를 쉽게 풀 수있습니다. 저는 집합을 만드는 set() 함수를 사용하여 풀었습니다. 

코드를 보여드리기 전에, set() 함수에 대해서 잠깐 알아보겠습니다.

 

1. set()함수는 중복을 제거합니다.

# set() 함수는 중복을 제거한다.

sample1 = set([1, 1, 2, 3]) # 1 두개 
print(sample1) 
print(type(sample1))

# {1, 2, 3}
# <class 'set'>

2. set()함수는 자동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됩니다.

# set 함수는 자동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실시한다.

sample = set([3, 2, 1, 1]) # 순서 변경
print(sample)
print(type(sample))

# {1, 2, 3}
# <class 'set'>

3. 집합의 연산은 순서에 따라 달라집니다.

# 집합의 연산은 순서에 따라 달라진다.

set1 = {1, 2, 3}
set2 = {2, 3, 4}
print(set1 - set2) 
print(set2 - set1)

# {1}
# {4}

set()함수의 3가지 특징을 고려하면,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왔지만 도난을 당한 학생을 명단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짠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 solution(n, lost, reserve):
    # 변수 선언
    answer = 0
    a = set(lost)
    b = set(reserve)
    
    # 여벌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한 경우
    lost = list(a - b)
    reserve = list(b - a)
    
    for i in reserve: # 여벌 체육복이 있는 아이들 번호를 하나씩 확인
        left = i-1 # 앞 번호
        right = i+1 # 뒷 번호
                
        if left in lost: # 앞 번호가 체육복이 없으면 
            lost.remove(left) # 체육복을 빌려준다. lost 명단에서 삭제 
        
        # 반드시 elif 사용
        elif right in lost: # 뒷 번호가 체육복이 없으면
            lost.remove(right) # 체육복을 빌려준다. lost 명단에서 삭제 
            
    answer = n - len(lost) # 전체 학생수 - 체육복이 없는 학생 수
    
    return answer

코드의 핵심은 if와 elif입니다.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만약 둘 다 if문을 사용하면, 앞 번호 학생에게 빌려준 다음 뒷 번호 학생에게도 빌려준다는 의미가 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앞 번호 학생에게 빌려주면, 뒷 번호 학생에게는 빌려 줄 수 없도록 elif문을 사용하여 탈출해야합니다. 

 

 

 

'Python 기초 > Python_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베스트 앨범  (0) 2020.04.26
[Python] 위장  (0) 2020.04.26
[Python]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실패율  (0) 2020.01.17
[Python] 완주하지 못한 선수  (0) 2020.01.10